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90년대 첫사랑 이야기 영화 '건축학개론'

     

    여러분과 함께 조금은 특별하고, 많은 이들의 가슴속에 남아있는 첫사랑의 감성을 그대로 담아낸 영화, '건축학개론'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90년대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이 영화는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는데요. 그 이유가 뭔지, 함께 알아볼까요?

     

    90년대 감성을 담은 첫사랑 이야기

    영화 '건축학개론'은 2012년 개봉한 대한민국 멜로/로맨스 영화로, 이용주 감독이 연출하였습니다. 이 영화는 1990년대 대학생 시절 만난 첫사랑의 추억을 그린 이야기로, 당시의 시대상과 문화를 반영한 감성적인 분위기가 특징입니다. 대학생 승민(이제훈)은 건축학개론 수업에서 처음 만난 음대생 서연(수지)에게 첫눈에 반합니다. 서툴지만 순수한 마음으로 조금씩 가까워진 두 사람은 서로에게 첫사랑의 감정을 느끼지만, 각자의 사정으로 인해 이별하게 됩니다. 이후 15년 만에 다시 만난 두 사람은 건축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면서 과거의 추억과 현재의 상황을 마주하게 됩니다. 이 영화는 첫사랑의 설렘과 아픔을 섬세하게 그려내며, 관객들에게 공감과 위로를 선사합니다. 또 삐삐, CD플레이어, 정릉 등 90년대 아이템과 배경을 적극 활용해 그 시대만의 감수성을 오롯이 담아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관객들에게 과거의 추억을 떠올리게 하며, 첫사랑의 향수를 자극합니다.

    영화의 배경과 시대적 배경

    '건축학개론'은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건축이라는 소재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주인공 승민이 건축학도라는 설정과 후반부에 등장하는 제주도의 집 설계와 건축 과정은 작품의 주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또 이 영화는 1997년 외환위기 직전의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극중에서는 아직 경제위기가 닥치기 전이지만, 불안정한 사회 분위기와 진로에 대한 고민 등이 인물들의 대사와 행동을 통해 드러납니다. 이런 시대적 배경은 작품의 분위기와 인물들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며, 관객들에게 작품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주요 등장인물 관계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은 대학생 시절의 승민(이제훈), 서연(수지), 현재의 승민(엄태웅), 서연(한가인) 네 사람입니다. 승민은 건축학과 1학년생으로, 숫기가 없고 조용한 성격입니다. 어느 날 같은 수업을 듣는 서연에게 첫눈에 반하게 되고, 그녀와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하지만 마음처럼 잘 되지 않습니다. 서연은 음대생으로, 밝고 적극적인 성격입니다. 승민과는 친구 사이로 지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에게 이성적인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나 현실적인 문제와 상황 때문에 결국 승민과 헤어지게 됩니다. 현재의 승민은 건축사무소에서 일하는 직장인이며 이혼남이고, 서연은 이혼 후 혼자 살고 있습니다. 15년 만에 재회한 두 사람은 함께 집을 지으며 과거의 추억과 상처를 돌아보게 됩니다.

    첫사랑과 청춘의 아련함

    영화에서는 90년대의 분위기와 첫사랑의 아련함을 담은 인상적인 장면들이 여럿 등장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장면 중 하나는 CD 플레이어를 이용해 함께 음악을 듣는 장면입니다. 이 장면에서는 전람회의 '기억의 습작'이 흘러나오는데, 이 곡은 작품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며 주인공들의 감정을 전달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또 다른 장면은 제주도에서 집을 짓는 과정에서 서로의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입니다. 이 장면에서는 과거의 승민과 서연의 모습이 교차되어 보이며, 그들의 첫사랑과 이별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관객들은 주인공들의 감정에 더욱 공감할 수 있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작품의 결말부에서는 완성된 집을 함께 둘러보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 장면에서는 그동안의 갈등과 오해가 해소되고, 주인공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용서하는 모습이 그려집니다. 동시에, 이제는 돌아갈 수 없는 과거의 청춘과 첫사랑에 대한 아련함을 느끼게 해 줍니다.

     

    영화 속 건축학의 역할과 상징성

    작품에서 건축학은 단순히 건물을 설계하고 짓는 학문이 아니라, 주인공들의 성장과 변화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역할을 합니다. 먼저, 건축학은 주인공 승민이 자신의 꿈과 목표를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승민은 처음에는 건축학에 대한 열정이 없었지만, 서연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꿈을 발견하고 이를 이루기 위해 노력합니다. 또, 건축학은 두 사람 사이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같이 집을 설계하고 짓는 과정에서 서로의 취향과 가치관을 이해하고, 서로에게 더욱 가까워지게 됩니다. 더 나아가, 영화 속 집은 주인공들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매개체이기도 합니다. 15년 전에 지은 집은 승민과 서연의 첫사랑의 추억이 담긴 곳이며, 다시 지은 집은 그들의 현재와 미래를 담는 공간입니다. 이로 인해 집은 단순한 건물이 아닌, 주인공들의 삶과 사랑을 상징하는 존재로 그려집니다.

    90년대 감성을 깨우는 요소들

    작품에서는 90년대 대중가요와 팝송이 다수 등장하는데, 이는 관객들의 향수를 자극하며 작품의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킵니다. 대표적인 곡으로는 전람회의 '기억의 습작', 마로니에의 '칵테일 사랑', 김동률의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음악들은 작품의 스토리와 어우러져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과 여운을 선사합니다. 또, 당시의 시대상과 문화를 반영한 영상미도 돋보입니다. 대학생들의 패션과 헤어스타일, 삐삐와 CD플레이어 등의 소품, 그리고 제주도의 아름다운 풍경 등은 관객들에게 마치 그 시절로 돌아간 듯한 느낌을 줍니다. 이렇게 세심하게 재현된 90년대의 모습은 관객들의 공감과 몰입도를 높이며,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감독과 배우들의 해석과 연기 과정 이해

    이용주 감독은 이 작품을 통해 첫사랑의 순수함과 아픔을 그리면서도, 현재와 과거를 교차시키며 인물들의 성장과 변화를 보여주고자 했습니다. 또, 각 인물의 감정선을 섬세하게 그려내며 관객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고자 했습니다. 배우들 역시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바탕으로 캐릭터를 해석하고 표현했습니다. 특히, 주인공 서연 역을 맡은 수지와 승민 역을 맡은 이제훈은 첫사랑의 설렘과 아픔을 자연스럽게 연기하며 관객들의 호평을 받았습니다. 또, 엄태웅과 한가인은 현재의 인물들을 연기하며 성숙하고 안정적인 연기력을 선보였습니다.

     

    '건축학개론'이 전하는 메시지와 현대적 의미

    이 영화는 첫사랑의 기억을 통해 우리 삶에서 중요한 가치와 의미를 돌아보게 해줍니다. 
    먼저, 첫사랑은 우리에게 순수함과 열정을 불러일으키며, 삶의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중요한 경험이라는 것을 상기시켜줍니다. 또,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의 생각과 감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며, 인생의 여정에서 마주하는 도전과 성장을 강조합니다. 현대적 의미에서는 디지털 시대에 잊혀진 아날로그적 감성을 자극한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90년대의 문화와 분위기를 재현하면서, 당시의 음악, 패션, 장소 등을 통해 관객들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킵니다. 또, 첫사랑의 기억을 통해 현재의 관계와 삶을 돌아보게 해주며, 바쁜 일상 속에서 놓치기 쉬운 소중한 순간들을 떠올리게 해 줍니다.

    오늘은 여러분께 풋풋한 첫사랑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영화 한 편을 소개해드렸는데요. 이번 주말에는 집에서 편안하게 영화 한 편 감상하면서 힐링하는 시간 가져보시는 건 어떨까요? 그럼 다음에도 재미있는 콘텐츠로 찾아올게요!

    반응형